TIL 2일차 — SQL 핵심 문법 심화 (집계, 그룹화, 정렬)
오늘은 SQL의 기초를 넘어 데이터를 요약하고 정리하는 핵심 문법을 배웠다.
엑셀로 일일이 계산하던 합계나 평균 등을 SQL 한 줄로 처리할 수 있다는 점이 인상 깊었다.
SQL은 단순히 데이터를 “조회”하는 언어가 아니라, 데이터를 분석 가능한 형태로 가공하는 도구라는 것을 실감했다.
오늘 학습한 주요 개념
1. 집계 함수 (Aggregate Functions)
데이터를 요약할 때 사용하는 함수들을 배웠다.
- SUM() : 합계 계산
- AVG() : 평균 계산
- COUNT() : 데이터 개수 계산
- MIN() / MAX() : 최소값, 최대값 계산
이 함수들을 통해 테이블 전체나 특정 조건에 맞는 데이터의 통계를 쉽게 구할 수 있었다.
2. GROUP BY - 그룹별 데이터 묶기
특정 기준(예: 매장명, 고객번호 등)에 따라 데이터를 그룹화하여
각 그룹의 합계나 평균을 구할 수 있었다.
데이터를 “묶어서 보는 시각”을 배울 수 있었던 부분이었다.
3. ORDER BY - 결과 정렬하기
쿼리 결과를 오름차순(ASC) 혹은 내림차순(DESC)으로 정렬해
데이터를 보기 좋게 정리할 수 있었다.
보고서나 대시보드에서 자주 쓰이는 기능이라 실무에서도 매우 유용할 것 같다.
4. SQL의 실행 구조 이해하기
SQL 문장은 단순히 위에서 아래로 읽히는 것이 아니라
FROM → WHERE → GROUP BY → SELECT → ORDER BY
순서로 실행된다는 점이 새로웠다.
이 실행 순서를 이해하니 쿼리를 논리적으로 짜는 사고방식이 조금씩 잡히는 느낌이었다.
오늘의 문제와 해결 과정
문제:
GROUP BY 사용 시, SELECT 문에 그룹화되지 않은 컬럼을 함께 적어서 에러가 발생했다.
해결:
집계 함수(SUM, COUNT, AVG)를 사용하는 경우,
그 외 컬럼은 반드시 GROUP BY 절에 포함해야 한다는 점을 깨닫고 수정했다.
단순히 문법을 암기하는 게 아니라, SQL이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하는지 “이해”하려는 방향으로 접근했다.
오늘 느낀 점
오늘 학습을 통해 SQL은 “데이터를 꺼내는 언어”에서
“데이터를 요약하고 통찰을 얻는 언어”로 확장된다는 걸 느꼈다.
특히 GROUP BY와 ORDER BY를 활용하면
실제 분석 현장에서 데이터를 빠르게 요약·정렬할 수 있다는 점이 흥미로웠다.
작은 데이터 쿼리도, 사고의 구조를 훈련시키는 과정임을 실감했다.
오늘의 회고 (WIL: What I Learned)
- SQL은 데이터를 단순히 “보는 기술”이 아니라 “요약하고 해석하는 사고법”이다.
- GROUP BY와 ORDER BY는 데이터 분석의 기초이자 강력한 무기다.
- 문법보다는 ‘왜 이렇게 동작하는가’를 이해하려는 태도가 성장으로 이어진다.
- 꾸준한 기록이 나만의 데이터 분석 여정을 만든다.
'데이터분석 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TIL 5일차 -SQL로 업무시간 단축하기 (0) | 2025.10.24 |
|---|---|
| TLI 4일차 - 데이터 연결하기 (0) | 2025.10.23 |
| TIL 3일차 - 데이터 가공하기 (0) | 2025.10.22 |
| TIL 1일차 SQL 기초 다지기 (0) | 2025.10.20 |
| 데이터 분석 트랙을 신청한 이유 (0) | 2025.10.20 |